안녕하세요, 오늘은 Windows 10에 기본으로 설치된 Microsoft의 클라우드 서비스 원드라이브(OneDrive)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원드라이브는 편리한 기능들이 많지만, 때로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자동으로 동기화되어 문제가 될 수 있죠. 그래서 오늘은 원드라이브 동기화를 해제하고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 전 확인해야 할 사항
원드라이브를 해제하거나 삭제하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점이 있어요. 무작정 해제하거나 삭제하다 보면 중요한 파일들이 같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먼저 원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들의 상태를 확인해 보세요. 원드라이브에 로그인한 뒤, 파일들의 아이콘을 보면 각각 다른 모양으로 표시되고 있을 거예요. 구름 모양은 파일이 클라우드 서버에만 저장되어 있다는 뜻이고, 화살표 모양은 동기화가 진행 중이라는 뜻이에요. 체크 표시가 있다면 동기화가 완료되어 내 디바이스에도 저장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중에서 구름 모양의 파일들은 동기화 해제 시 내 컴퓨터에서 사라지게 되니 주의해야 해요. 그래서 이런 파일들은 미리 내 컴퓨터에 저장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파일을 선택한 뒤 오른쪽 마우스 클릭 - "항상 이 장치에 유지"를 선택하면 내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어요.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하기
이제 원드라이브 동기화를 해제해 볼게요. 먼저 화면 오른쪽 아래에 있는 원드라이브 아이콘을 클릭한 뒤 "도움말 및 설정"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설정"을 클릭하세요. 설정 창이 뜨면 "계정" 탭에서 "이 PC 연결 해제"를 선택하면 돼요. 그러면 원드라이브 파일의 동기화가 중지되고, 내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들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클라우드 전용 파일들은 제거됩니다. 이렇게 원드라이브 동기화를 해제하면 더 이상 자동으로 파일이 업로드되지 않아 편할 거예요. 혹시 원드라이브를 완전히 삭제하고 싶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볼까요?
원드라이브 완전히 삭제하기
원드라이브를 완전히 삭제하려면 제어판에서 프로그램을 제거하면 돼요. 키보드의 Windows 버튼을 누르고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검색하세요. 그러면 프로그램 목록이 나오는데, 그 중에서 "Microsoft OneDrive"를 찾아 제거를 클릭하면 끝이에요. 이렇게 삭제하면 원드라이브 아이콘도 오른쪽 하단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물론 원드라이브를 다시 사용하고 싶다면 언제든 재설치하면 되니 걱정하지 마세요. 계정 정보만 기억해두면 언제든 다시 사용할 수 있답니다.
정리하며
오늘 알아본 것처럼, 원드라이브는 편리한 기능이 많지만 때로는 원치 않는 상황에서 자동으로 동기화되어 문제가 될 수 있어요. 그래서 동기화를 해제하거나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을 꼭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동기화 해제 전에는 파일 상태를 꼭 확인하고, 중요한 파일은 미리 내 컴퓨터에 저장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그리고 완전히 삭제하고 싶다면 제어판에서 프로그램을 제거하면 됩니다. 이제 원드라이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셨으니, 앞으로 더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거예요. 혹시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댓글